HISTORY

2018 11 네이버북클럽 ‘지담북살롱’ 시작​

2019 02 새벽 5시 북클럽 ​시​작

2023 02 온라인 플랫폼 시작​

2023 02 한국독서글쓰기코칭협회 창림립

2023 05 1 기 SSWB-Act Coaching 코치 수료

2023 09 2 기 SSWB-Act Coaching 코치 수료

2024 01 기업코칭

2024 03 3기 SSWB-Act Coaching 코치 수료

REVIEW

‘나’라는 사람을 들여다보고, 주변을 돌아보는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김*락)


”타인에게 나를 표현하면서 부족한 저를 피하지 않고 마주하려고 노력합니다.“(김*현)


”나답게 사는 것에 무엇보다 집중하다 보니 삶을 대하는 자세가 달라진 것 같아요. 더 겸손하고 더 적극적으로 배워 보려구요. 제 안에 감사하는 마음이 ​매일 생겨요.“(김*혜)


”불안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감정임을 알게 되면서 불안이 밀려오면, 그 이면엔 안정이 있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게 되면서 불안에 크게 얽매이지 않게 ​되었습니다.(중략) 책은 삶을 살아가는 원리를 저에게 알려 주었습니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이제는 세상이 나에게 준 질문에 대한 해답이 ​궁금해집니다..(김*라)


”독서를 통해 머리만 커지고 다리는 움직이지 않는 저를 봤습니다 나를 힘들게 했던 과거는 내가 선택한 결과이니 외부환경, 특히, 부모님을 원망하지 ​않게 되었습니다.“(문*인)


“과거의 관념으로 단단하게 굳어진 나의 사고를 바꾸려면 ‘관념대로 하지 않는 행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이제는 더 나은 삶을 위해서 용기를 내보​려 합니다.”(김*라)


“과거에 대한 집착, 저에 대한 부족한 믿음으로 지내 온 시간이 길어서인지 저는 저를 믿지 않았어요. 코칭으로 사명, 신념, 목표를 잡고 루틴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미래에 초점을 맞추고 부정, 비난, 원망, 남 탓하는 삶에서 내가 원하는 모습을 꿈꾸고...”(김*혜2)


“가보지 않은 미래에 대해서 과거의 나의 기억과 경험이 재단하고, 판단하려고 할 때, 유일하게 내가 해야 하는 것은 판단보류 그리고, 행동만 반복한다​입니다. (중략) 회사에 가서도 어떤 일에 부딪히면 상황을 피하기 위해 이래서 안되고, 저래서 안된다는 핑계를 찾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어려운 쪽으로 선택한다는 것입니다. 이제는 어제의 나와 싸울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어느 날은 지고, 어느날은 겨우 ​이기겠지만, 그 역시도 성장임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김*라)


‘책으로 채워진 지식이 많아질 때마다 실천이 되지 않는 자신에게 실망하는 순간들이 많아졌습니다. 앎을 삶으로, 지식을 실천으로 바꾸는 것이 너무 어​려웠고 여러번 한계에도 부딪혔지요.(중략) 하지만, 생각하지 말고 행동을 반복하면서 극복해 냈지요.(중략) 잃어버렸던 꿈을 꾸고 이를 이루기 위해 행​함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습니다.“(박*영)

‘”코칭은 자신의 변화를 위해 훌륭한 도구이며(중략) 특히, 1년간 평소 접하지 않았던 분야의 책을 통해 지식이 쌓이고 통찰하는 것이 힘들었지만 이를 통해 삶의 관계에서 깊은 안목이 생기게 되고 타인과의 관계와 발전에 도움이 상당히 되었습니다.”(김*락)


”돈 욕심없이 그저 좋은 사람으로 사는 것이 옳은 삶이라고 착각하며 살아왔습니다. 그것이 가진 모순을 미처 깨닫지 못하고 결국 시류가 변하면 나는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무자본으로 시작해야 하는 인생을 반복하며 살았고 왜 그래왔는지에 대해 통찰하지 못했습니다. (중략) 나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 많이 힘들었습니다“(김*기)


”육체적 자유를 꿈꿔왔던 저는 독서와 코칭을 통해 차원이 다른 정신의 자유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것이 진정으로 제가 원하던 자유라는 것도 깨닫게 되었습니다.“.(김*현)


“삶을 살아가는 기준, 원리를 모르는 무지에서 조금씩 알아가게 되고 삶에서 실천하면서 감정에 매몰되지 않게 된 것이 가장 큰 변화입니다. 우울감에 빠져 무기력으로 진행되기 전에 나의 상태를 바라보는 눈이 생겼으며 행동하는 힘이 생긴 것.(중략) 독서를 하면서 내가 원하는 것을 알게 되고 이것이 나의 일상을 바꾸어 나가는 것.(중략) 자가코칭을 통해 감정에 매몰되지 않을 수 있는 힘을 갖게 된 것에 감사하고 있습니다. 다툼에서도 내가 원하는 것을 질문하게 되고 그 답을 찾으면서 나의 이성이 출동, 결국 내 삶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삶에 진입한 것을 느낍니다.”(김*혜2)


“나를 드러내는 것이 자연스러워졌어요. 정말 큰 변화입니다. 나를 방해하는 사보타주를 만났을 때 제 안에 두꺼운 벽이 있다는 사실도 잘 몰랐는데 이를 알게 되면서 내 마음을 무겁게 했던 것들이 가벼워졌어요. 무엇보다 그 벽이 나를 사랑하는 마음마저 막고 있었던 것인지 나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어요. 대면코칭 첫날 일어난 일이라 더 놀랍습니다.”(문*인)


“루틴입니다. 코치님과 1주일간 어떤 행동을 약속하고 실천하면서 부정 가득했던 내가 나를 믿게 되는 힘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웃기’ 루틴이 추가되면서 결국 밝아지는 나로 변해가고 있는 중입니다. 게다가 매일 인증하니 작은 습관이 쌓여 놀라운 저를 만드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중략) 목표를 위해 내가 해야 할 일에 집증하는 삶을 살게 된 것과 생각만 많고 행동이 없었던 삶에서 행동으로 옮기는 삶으로 전환되었습니다.”(김*혜2)


“코칭을 통해 사소한 저의 행동 하나로 저의 정신과 주변이 바뀌는 경험으로 저는 세상과 어울릴 수 있는 사람이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코칭 이후 100일 동안 무슨 일이 있어도 밖에 나가기로 했습니다. 처음에는 나가는 행동에만 의식의 초점이 맞춰졌었지만 60일이 지나자 나가는 것보다 나가서 하고 싶은 것을 찾게 되었습니다. 마지막 100일 앞둔 시점에서는 하고 싶은 것이 곧 해야 할 것이 되어 놀랐습니다. 사소하지만 매일 같은 행동을 반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선물과도 같은 순간을 경험해본 것 같습니다.”(김*현)

코칭에서 경청을 경험한 후 상대의 말을 경청해보게 되었죠. 나 위주로 대화하던 내가 상대의 이야기를 이렇게 깊이 있게 들어보는 것은 놀랍습니다“(김*기)


“감정에 휩싸여 사는 것이 행동부족때문인지, 다른 원인이 있는지를 찾고 있었는데 코치께서 ‘자기합리화 그만하시지요.’라는 말에 깜짝 놀랐습니다. 제가 이유를 찾는 것이 저의 정당화를 위해서인 걸 몰랐죠. ‘그러면 왜 제가 저를 합리화시키고 있을까요?’라고 했더니 '원하는 것에 간절하지 않은 거죠.'라고 말씀하셨는데, 순간 멍했습니다..”(김*현)


“제 변화가 직장동료, 친구들에게 영향을 미쳤음을 확신합니다.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직장에서 특히, ‘교육’이라는 이름 아래 단순한 업무전달이 아니라 상위 차원의 원리를 중심으로 사고하고 대화하다 보니 회사의 비전에 대해 더 깊이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문*인)

“책을 읽고 코칭을 받을수록, 우리는 더 다양한 사람들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타인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사람들이 늘어날수록, 이 사회는 더 풍요롭고, 더 조화롭고, 더 선한 사회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김*혜)


“진심으로 타인의 성장을 바라는 마음으로 행하는 코칭을 통한 저의 성장자체가 선을 추구하는 것이라 여기게 됐습니다. 코칭으로 인한 나의 변화에 스스로 만족감을 느낀다면, 나에게서 그치지 않고 가족, 동료, 지인을 대하는 마음부터가 달라지니까요.”.(김*현)


“코칭을 통한 나의 성장,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주변 사람들의 변화로 이어지고 나의 코칭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의 성장을 돕는다면 서로가 연결되어 있기에 결국은 이기가 이타가 되어 이 사회는 공공선을 추구하는 사회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김*혜2)


“인간은 감정의 동물입니다. 코치의 가교역할 덕에 제대로 된 코칭을 받은 사람은 삶의 난관에 부딪혔을 때 감정에서 빠져나와 감정 대신 이성적인 사고를 하게 됩니다. 코칭은 개인 내면에 안정적이고 튼튼한 중심축을 확고하게 만들어 주죠. 단단한 내면을 가진 우리가 모인 사회가 된다면 얼마나 아름다울까요? 코칭 덕에 저 역시 시민의식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었으며 나 하나가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보다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사람들이 코치를 찾기 때문에 둘의 만남은 성장이 전제되어 있습니다. 상대방이 나를 통해 성장하니 내 기쁨도 커지고, 이는 계속해서 더 증대되죠.”(김*라)


“이 부분은 말로만 설명하기 너무 어렵습니다. 코칭은 개인의 성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가족, 동료들이 저를 닮고 싶어하는 걸 느낍니다.”(김*락)

“가족이나 지인과의 대화에서도 잡담이나 험담이 아닌, 꿈과 사명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들도 꿈을 갖고 살았으면 하는 마음이 커졌습니다. 대화가 더 깊어질수록 저는 저의 사명에 더 집중하고 루틴을 실천하며 성공하고자 하는 욕구가 점점 커졌습니다, 저의 변화가 타인의 변화로, 다시 저의 변화로 이어지는 거죠.”(김*기)


”코칭은 나를 찾아주는 강력한 힘이라고 얘기하고 싶습니다. 책으로 알게 된 이론을 내 몸 구석구석 넣어주는 듯한 느낌이라고 표현하면 될까요? 이론을 행동으로 만들어 내는데 코칭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코칭은 “나”에게 집중시킵니다. “(김*라)


”코칭을 통해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내가 되고자 하는 삶이 무엇인지,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내가 원하는 사람이 될지를 알아 갑니다.“(김*기)


”머리로는 알지만 외면하던 나의 문제를 정면으로 바라볼 용기가 생겼습니다. 개인의 성장에 있어서 독서와 코칭이 연계되니 강력한 무언가가 저를 이끄는 느낌을 받습니다.“(문*인)


”직장에서 바쁘게만 열심히 일하다 퇴근하는데 언제부턴가 동료들을 관찰하고 있는 저를 발견했습니다. 타인을 통해 나를 들여다보고 나를 드러내어 타인과 대화할 수 있게 된 것이 제겐 너무 놀라운 경험입니다. 저를 사랑하지 못했는데 저에 대한 믿음과 사랑이 생기는 것이 너무 신기하고. 독서를 통해 배운 원리를 일과 가정에 대입하면서 심적으로 아주 여유가 많아졌습니다. 일에서도, 가정에서도 점점 긍정적으로 변해가는 저를 느끼고 있어요.“(김*혜)

건율원 ㈜

대표 박신영

사업자등록번호 512-85-08929

법인등록번호 220111-018289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신설로6길 1-2, 1층(이도이동)


© 건율원 Co., Ltd.

Home - Master Coach

About 건율원


Service - SSWB-Act coaching

Coaching Course


Clients - History, Review

Designed by THE ME KUNAH